언론사별 뉴스
최신
-
디커플링 심화에… 미, 대중수입 17년만에 최저 문화일보2023.06.08미국의 대중 디커플링(탈동조화)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미국 수입액에서 중국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17여 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. 수출 ...
-
일본, AI 저작권 침해 우려 ‘지식재산 보호대책’ 검토 문화일보2023.06.08일본 정부가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(AI)의 저작권 침해를 우려, 지식재산 보호 방안 마련에 나선다. 8일 요미우리(讀賣)신문은 일본 정부의 지식재산전략본부가 발...
-
힘 받는 마크롱식 친중전략…유럽인 62% “미·중 전쟁땐 중립 지켜야” 문화일보2023.06.08베이징 = 박준우 특파원 jwrepublic@munhwa.com 미국이 대중 압박 수위를 높이고 동맹국 참여를 유도하고 있지만 유럽에선 중국과의 경제 협력 파트너로 활용해야 한다...
-
나토 ‘집단방위 5조’ 발동된 것처럼… 독일서 사상 최대규모 방공훈련 문화일보2023.06.08나토(북대서양조약기구)가 내주 독일에서 창설 사상 최대 규모의 방공훈련을 진행한다. 군인 1만 명과 250대의 전투기가 참가할 예정으로, 우크라이나의 ‘대반격’에 ...
-
플로리다주 외국인 부동산구매 제한에… 중국계주민, 법안시행 금지 가처분신청 문화일보2023.06.08워싱턴 = 김남석 특파원 namdol@munhwa.com 중국계 이민자들이 미국 플로리다주가 7월 1일 시행하는 중국과 북한, 러시아 등 우려대상국 국적자들의 부동산 구매 제한 ...
-
피고 소속정당 등에 따라 ‘고무줄 재판’… “야당에 면죄부” 지적도 문화일보2023.06.08이른바 김명수 ‘코트(court)’ 6년간 정치적으로 민감하거나 논란을 키운 각종 형사 사건에 대한 재판 기간이 길어지면서 사법부에 대한 불신을 법원이 스스로 키우고 ...
-
작년 ‘장기 미제’ 형사피고인 4781명 달해… 민사사건은 7746건으로 6년새 3.2배 급증 문화일보2023.06.08김명수 대법원장 6년 재직 중 정치적 논란이나 쟁점이 된 사건뿐만 아니라 일반 사건 처리도 크게 늦어진 것으로 나타났다. 특히 지난해 기준 1심 재판에서부터 유·무...
-
대법관 2명 내달 퇴임… 대법원·대통령실, 후임 놓고 미묘한 기류 문화일보2023.06.08내달 임기가 끝나는 조재연·박정화 대법관의 후임 인사를 두고 대통령실과 대법원 사이에 미묘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. 조만간 김명수 대법원장이 8명으로 좁혀진 후...
-
“불법과 타협없다”… 윤 정부, 노사정 새판 짜나 문화일보2023.06.08한국노총이 정부와 경영·노동계 대화 창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윤석열 정부의 ‘노사정 대화’ 새판짜기 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. 이에 더불...
-
경총 “경제위기 상황… 한노총 조속히 복귀를” 문화일보2023.06.08한국노총이 지난 7일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를 중단한다고 밝힌 데 대해 경영계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대화를 거부했다고 비판하며 조속한 복귀를 촉구했다. 경...
-
방송법시행령 43조 개정땐 연내 수신료 분리징수 가능 문화일보2023.06.08대통령실이 KBS TV 수신료의 분리 징수를 권고함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는 김효재 위원장 대행을 중심으로 시행령 개정에 착수했다. 일단 한국전력의 전기 요금 납부 청...
-
방통위원장 선임도 충돌 예고… 野, 이동관 아들 학폭논란 제기 문화일보2023.06.08대통령실의 KBS 수신료 분리징수 권고로 공영방송 개혁 문제가 정국의 쟁점으로 부각되는 상황에서 KBS·MBC 등 방송사들이 사실상 방송통신위원장에 내정된 이동관(사...
-
방만·편파 논란 커지는데… KBS, 年 3만원 ‘수신료 세금’ 고집 문화일보2023.06.08KBS TV 수신료를 둘러싼 대통령실과 KBS의 정면충돌은 공영방송의 편파적 보도행태, 방만 경영 논란에도 불구하고 수신료가 사실상 세금처럼 강제징수되고 있기 때문이...
-
KBS 직원 절반 억대 연봉… 인력조정없이 수신료 올리려다 뭇매 문화일보2023.06.08대통령실의 KBS 수신료 분리 징수 권고에 대해 KBS 경영진이 “사즉생(死則生)의 각오로 혼신의 노력을 다해 KBS를 지켜나가겠다”고 맞서고 나섰지만, 여론은 차갑기만...
-
우크라 댐 파괴로 곡창지대 잠겨… WFP “세계 식량난 더 심화할것” 문화일보2023.06.08유엔이 ‘유럽의 곡창지대’ 우크라이나의 카호우카 댐 붕괴로 세계 식량난이 악화할 수 있다고 7일(현지시간) 경고했다. 또 러시아가 침수 피해 구조대에 총격을 가하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