언론사별 뉴스
사회
-
도로·전철역·중고차 단지까지..곳곳 침수로 큰 혼잡 KBS2022.06.30[앵커] 곳곳에서 비 피해도 잇따랐습니다. 먼저 수도권 상황 정리해 봅니다. 지하철 역사에 물이 들어차고 중고차 단지가 침수되는가 하면 공사장 물 웅덩이에 빠져 노...
-
"가상 자산으로 큰 돈"..70억 원 뜯은 일당 검거 KBS2022.06.30[KBS 부산] [앵커] 가상자산 투자로 큰 돈을 벌게 해주겠다고 투자자를 단체 채팅방에 모은 뒤 70억 원을 받아 가로챈 사기단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. 이들은 처음에는...
-
이 시각 군남댐.."사전 통지 없이 황강댐 이미 방류, 유감" KBS2022.06.30[앵커] 이번 장마로 그 어느 곳보다 긴장이 높았던 곳, 바로, 경기 북부 '접경 지역'입니다. 북한에서 댐을 방류할까봐 촉각을 곤두세워 왔는데요. 북한은 이미 이번주 ...
-
도로 곳곳 통제로 퇴근길 정체 극심..이 시각 잠수교 KBS2022.06.30[앵커]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호우 경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곳곳에서 도로가 통제된 여파로 퇴근길 큰 혼잡이 빚어지고 있습니다. 하천 수위도 많이 올라가 남양주 ...
-
비 피해 잇따라..춘천·철원·홍천·횡성에 산사태주의보 KBS2022.06.30[KBS 춘천]철원과 화천 등 강원 영서지역에 이틀간 최고 200mm가 넘는 비가 내리면서 비 피해가 잇따랐습니다. 오늘(30일) 새벽 5시쯤 춘천시 서면 현암리 403번 지방도...
-
제주 다시 200명대 신규 확진..밤사이 사망자는 없어 KBS2022.06.30[KBS 제주] 제주지역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늘고 있습니다. 제주에서는 어제 코로나19 확진자 205명이 나온 데 이어, 오늘은 126명이 추가되며 누적 확진자는 23만 9...
-
늘어나는 자연재해위험지구..계속되는 정비에도 왜? KBS2022.06.30[KBS 제주] [앵커]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이 수십 년째 진행되고 있지만 침수 피해 지역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. 강수량 증가에다 각종 개발로 피해 지역이 바...
-
부산 민선8기 조직개편안.."반노동적·개발 중심" KBS2022.06.30[KBS 부산] [앵커] 내일(1일)부터 민선 8기 부산시가 출범합니다. 이에 맞춰 부산시가 박형준 시장 체제의 주요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추진 중인데요. 부...
-
충북 중·북부에 '집중호우'..비 피해 잇따라 KBS2022.06.30[KBS 청주] [앵커] 밤사이 충북에서도 최대 150mm가 넘는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. 일부 지역에선 시간당 50mm가 넘는 장대비가 쏟아지며 피해가 속출했는데요. 오늘 밤...
-
집중호우 피해 잇따라..충남서 주택·교량 등 붕괴 KBS2022.06.30[KBS 대전] [앵커] 밤사이 서산에 시간당 105mm에 달하는 많은 비가 쏟아졌습니다. 기록적인 폭우에 한 명이 숨지고 주택과 상가 수십 곳이 침수되는 등 피해가 속출했...
-
'예산편성권' 서울시 손 들어준 대법원.."교육예산 축소 불가피" KBS2022.06.30서울시는 지난 1월, 서울시의회를 상대로 대법원에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. 시의회가 의결한 '교육경비보조금 조례 개정안'이 지방자치단체장의 예산 재량권을 침해했...
-
울산 폐기물 처리 업체 폭발 사고..1명 중상 KBS2022.06.30오늘 오후 3시 쯤 울산 남구의 한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폭발 사고가 났습니다. 이 사고로 작업 중이던 노동자 4명 가운데 60대 노동자 한 명이 3도 화상을 입어 병원으...
-
[현장영상] 수원 권선구 중고차 매매단지 침수..차량 100여 대 피해 KBS2022.06.30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의 한 중고차 매매단지에서 폭우로 인해 차량 100여 대가 물에 잠기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. 수원시청은 오늘 오전 9시 30분쯤 권선구 고색동의 중...
-
검·경 협의체 첫 회의..'책임수사제' 등 논의 예정 KBS2022.06.30법무부와 검찰, 경찰이 국정과제인 ‘책임수사제’ 등 ‘검찰 수사권 축소법’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처음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법무부 등은 오늘(30일) 오후 2시...
-
[크랩] 40만 원 짜리 '손흥민 경기' 푯값이 300만 원이 된 이유 KBS2022.06.30사회적 거리두기가 사라지면서 재개된 각종 경기, 행사, 축제들. 하지만 반갑지 않은 모습도 보이는데요. SNS나 중고거래 사이트에 쏟아지는 ‘암표 거래’ 게시글입니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