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"혁신시장으로 기억되고 싶다"..이용섭, 퇴임 이후 행보 '관심' kbc광주방송21:26【 앵커멘트 】 퇴임을 이틀 앞둔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'혁신 시장'으로 기억되고 싶다는 바람과 함께, 지역 발전을 위한 '역할'을 예고했습니다. 다음 달 1일 출범을...
-
[미리보는 이데일리 신문]3高에 최저임금까지 34만명 실업자 된다 이데일리21:25[이데일리 김미영 기자] 다음은 6월 28일자 이데일리 신문 주요 뉴스다. △1면 -3高에 최저임금까지 34만명 실업자 된다 -전기·가스료 7월 인상…4인가구 3755원 더 낸...
-
가구당 3천700원 부담?..실제 물가 영향은 얼마나? KBS21:23[앵커] 경제부 서영민 기자와 이야기 좀 더 나눠보겠습니다. 서 기자, 전기요금 인상은 예고됐던 거지만 폭이 조금 더 컸네요? 물가에 얼마나 영향을 줄까요? [기자] 전...
-
정부, 정유업계 담합·주유소 현장 점검 나선다 경향신문21:23정부가 유류세 인하 조치의 체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유업계의 담합 여부를 점검한다. 27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...
-
골프 선수 리디아 고, 현대카드 부회장 아들과 12월 결혼 연합뉴스21:22(서울=연합뉴스) 심재훈 김동찬 기자 = 뉴질랜드 교포 골프 선수 리디아 고(25)가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아들 정준(27) 씨와 올해 연말 결혼할 것으로 알려졌다. 27...
-
이창양 장관, 체코·폴란드 방문..'원전 세일즈' 시동 KTV21:20김용민 앵커> 정부가 한국형 원자력 발전 수출을 위한 본격 수주전에 나섭니다. 나토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윤석열 대통령은 체코, 폴란드 등 9개국 정상과 양자 회담을 ...
-
가정용·업소용 식용윳값 줄인상..기업의 70%는 가격 인상 전망 KBS21:15[앵커] 이렇게 장사하려면 꼭 써야 하는 전기 요금이 오른 상황에서, 음식 만들 때 필요한 식용유 값도 줄줄이 뛰고 있습니다. 아직 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은 기업들 상...
-
대구시 조직 개편은 어떻게? 대구MBC21:13◀앵커▶ 대구시장직 인수위원회가 6월 27일 홍준표 당선인의 조직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. 비슷하거나 중복되는 조직을 통합했고 원스톱 기업 투자센터를 새로 만들...
-
"한 달 전기요금 100만 원 넘는데"..PC방·노래방 등 소상공인 '울상' KBS21:13[앵커]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를 보낸 자영업자들, 특히 전기 많이 쓰는 PC방이나 노래방 같은 곳은 걱정이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. 박대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[리...
-
노동 가치의 재발견..'대박' 대신 '따박'의 시대로 매경이코노미21:12세계 최대 헤지펀드 ‘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’를 이끄는 레이 달리오 회장은 2020년 다보스포럼에서 ‘현금은 쓰레기(Cash is trash)’라고 말해 주목받았다. 현금을 ...
-
풍전등화 한국전력..전기요금 개편 없인 자본잠식 코앞 매경이코노미21:12“한국전력 자체가 개혁할 부분이 많다. 한국의 전력요금이 전 세계에서 제일 쌀 것이다. 요금을 올려야 한다는 건 필수다. 다만 국민을 설득하는 것이 필요하다. 현재 ...
-
다음 달 전기·가스 요금 오른다..공공요금 줄인상 KBS21:10[앵커] 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서울과 중부지방은 하루 종일 비가 오락가락했고, 남부지방엔 폭염이 이어졌습니다. 벌써부터 눅눅하고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에어컨 ...
-
중소기업계 "전기요금 인상 우려..전용요금제 만들어 달라" 한국일보21:10정부가 물가 상승 우려에도 불구하고 당초 예상보다 큰 폭으로 전기·가스료를 올린 것에 대해 중소기업계가 강한 우려를 표하며 '전용요금제' 신설을 주장했다. 중소기...
-
165일 만에 대구 두 자릿수 확진..재유행 가능성은? 대구MBC21:09◀앵커▶ 대구의 코로나19 하루 확진자 수가 두 자릿수까지 떨어졌습니다. 오미크론 대유행 이후 165일 만입니다. 불과 석달 전인 3월 16일 확진자 2만 4천여 명이 쏟...
-
민선 8기 정책 분야는? "복지·환경 등 정책 후퇴 안 돼" 대구MBC21:08◀앵커▶ 6월 28일은 민선8기 대구시정 정책 분야 발표가 예정돼 있습니다. 대구시가 추진한 정책 가운데 어떤 게 살아남고 또 수정·보완되거나 사라질지가 관심사입...